사용하는 보드 입니다 5v전원을 인가해줄 케이블 입니다. 다운로드와 usart통신을 위한 케이블과 rs232입니다 https://youtu.be/SjhHZ7bmzPk동영상추가keil_v5 프로젝트 생성전에 자신이 쓰는 칩에 맞는 pack 설치하기 http://blog.naver.com/eeee6160www.youtube.com 동영상20150630 122519cortex-m3 Keil uVision5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프로젝트 생성하기www.youtube.comhttp://youtu.be/GB7uT1Bs92s
acl : access control list파일과 디렉토리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관리 첫번째 글자 - 파일을 의미 d 디렉토리를 의미*r**r**r**첫번째 r** 소유자Owner두번째 r** 그룹Group세번째 r** 기타Otherr은 읽을 수 있는 권한을 나타낸다w은 쓸 수있는 권한을 나타낸다x는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나타낸다 chmod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설정하는 명령어 chmod U,G,R±R 읽기권한 부여하거나 빼기(소유주U 그룹G 기타R) chmod U,G,R±W 쓰기권한 부여하거나 빼기(소유주U 그룹G 기타R) chmod U,G,R±X 실행권한 부여하거나 빼기(소유주U 그룹G 기타R) ex) chmod u+R group1 ( 파일 group1의 소유자에게 읽기 권한을 부여)위의 ..
우선 파일과 디렉토리 구별 파일과 디렉토리 -윈도우에서 생각하면 파일은 .txt .jpg .exe 등등을 파일이라고 하고 -디렉토리는윈도우에서 생각하면 폴더의 개념입니다. 파일목록을 보는 명령어 명령어 ls 파일목록을 보는 명령어 명령어 ls -a 숨져진 파일까지 보는것앞에 점이 찍혀있는 파일이 숨겨져있던 파일 명령어 ls -l 목록을 수직리스트형식으로 출력(4096은 바이트 단위의 파일 크기를 의미함) ls -al 모든파일을 리스트 형식으로 출력함 파일크기들을 보기편하게 하고 싶으면 ls -lh명령어를 사용 4.0k바이트라는것 명령어 ls-h 라고쓰면 크기가 나오지않는 다 리스트형식으로 출력해야 나옴 ls -al 명령어와 같은표현 ll 이부분에서 -로 시작하는것은 파일을 의미하고 d로시작하는것은 디렉토..
모두 초기화하고 처음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속해있는 그룹목록을 확인하는법 id(자신의 그룹목록 확인가능) 다른 유저의 그룹목록을 확인하는법 uid :사용자별로 할당되는 주소gid :그룹별로 할당되는 주소사용자 생성시 기본적으로 그 사용자의 이름을 가진 그룹이 만들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한명의 유저는 1개 이상의 그룹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룹생성 유저를 만들면서 그룹에 추가시켜 보겠습니다 -g 1개의 그룹만 추가하는 경우-G 1개 이상의 그룹을 추가하는 경우(그룹,그룹,그룹 형식으로 추가 가능)사진에서는 -D로 1개만추가tsetuser2라는 사용자생성/home/rey 디렉토리에 생성-s 명령은 나중에 설명testgroup1이라는 그룹부여그룹정보를 확인해보면유저 자기자신의 이름을가진 ..
1.그룹생성 1.대화형으로 생성 sudo addgroup 그룹이름2.비대화형으로 생성 sudo groupadd 그룹이름group add 옵션보기 sudo groupadd -h (-f 그전그룹을 무시하고 강제로 만들어버림 -g 특별하게 그룹 아이디를 사용하고싶은 경우 -o 를 사용하면 그룹아이디를 중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g 그룹 패스워드 지정 (그룹단위는 패스워드를 잘 설정하지 않는다)*encrypt ~를 암호로 바꾸다. -r 슈퍼유저의 권한을 갖는? 그룹을 만들고 싶을때) 2.그룹변경1.비대화형 처리만가능sudo gruopmod 옵션은 그룹생성과 비슷합니다. ------------------그룹의 GID를 변경해 보겠습니다 그룹의 주소를 알아보기위해 groupmod 그룹이름을 입력하면 그룹..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다중접속을 허용합니다(여러 사용자가 한 컴퓨터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1.사용자 생성1.대화식 생성사용자 생성은 슈퍼유저만 가능합니다명령어 sudo adduser 사용자이름 2.비대화식 생성명령어 sudo useraddsudo useradd -d /home/사용자이름 -s /bin/bash -m 사용자이름(-d의 명령어 사용해서 /home/사용자이름 추가)(-s 명령은 다음에 설명하겠습니다)(-m make의 약자 homedirectory 생성하는 기능)(-p 명령을 이용해서 비밀번호 설정가능 암호화된 문자열로만 설정 가능 2. 사용자로 로그인 ctrl+alt+F1 클릭사용자 이름 입력패스워드 입력 사용자 위치 명령어pwd cd .. 이전파일로 돌아가는 명령어ls ..
슈퍼유저란 리눅스의 모든 접근을 허용하는 유저? 입니다.슈퍼유저 기능을 사용하면 문서의 편집 삭제 등등 모든것이 가능하기때문에잘못 사용하다가는 원하지않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조심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ohhyungyu : 사용자 이름~$ : 일반 사용자 슈퍼유저 기능을 사용할수 있는 방법은 2가지 입니다.( man sudo 명령으로 자세한 설명참고)1. sudo 명령어를 사용해서 필요할때만 슈퍼유저 기능을 사용하기ex) sudo adduser 사용자이름 이라는 명령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2.항상 슈퍼유저로 전환하는 방법 sudo su 명령어 사용 슈퍼유저로 접근하기위해서는 비밀번호가 필요합니다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슈퍼유저로 접속한것을 알수 있습니다.ID가 root 로 바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