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다형성이 어떤것인지 알아보기 전에 소스먼저 보겠습니다,부모 자식 두 클래스에 같은 이름에 메쏘드가 있는경우 결과는 자식 클래스의 메쏘드가 실행됨을 알 수 있습니다. 부모나 자식 둘중 하나만 메쏘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대해서 보겠습니다.부모만 메쏘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실행이 잘 됩니다. 반대로 하게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즉 A가 의미하는것은 데이터타입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A클래스에 있는 메소드나 변수를 사용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다형성이 필요한 것 일까요?다음 예제를 보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다형성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
작은 자료형에서 큰 자료형으로 이동은 가능하지만큰 자료형에서 작은 자료형으로 이동할 때는 캐스팅작업을 거쳐야 가능합니다.(캐스팅시 데이터가 손실됩니다.)boolean 자료형은 형변환이 불가능 합니다.float형은 접미사 f를 붙여야 합니다. 1바이트 2바이트 4바이트 8바이트 논리형 boolean 문자형 char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빨간색은 기본형 입니다 왼쪽은 소스이고 오른쪽은 결과갑입니다.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
String을 Int형으로 바꾸는 함수는 Integer.parseInt() 입니다 예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변수 a와 변수 b는 형이 맞아야 연산이 가능하므로 a를 문자형에서 정수형으로 바꿔주는 Interger.parseInt() 함수를 사용했습니다.주의할 점은 정수형으로 바뀌는 함수이므로 문자열에 문자가 들어간 String은 바꿀 수 없습니다. ex) String a = "12aa" 는 예외처리를 하지 않으면 컴파일이 되지 않습니다. 출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자바에서 제공하는 난수생성 함수는 Math.random() 입니다0이상 1미만의 난수를 리턴합니다 만약 정수 0부터 24중에서 난수를 생성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해보겠습니다. (Math.random()*25) 부분을 살펴보면 우선 난수를 생성하고 25를 곱해줍니다. 그럼 0이상 25미만의 실수가 리턴이 되는데, (int)(Math.random()*25) 이와같이 앞에 int를 붙여주게 되면 소수점은 지워지고 정수부분만 남게 되므로 0부터 24까지 난수가 생성됩니다.